《자기통찰》 필사 9일차 [누적 259일차] 열정을 이해할 때 우리는 영원히 물어뜯을 수 있는 뼈다귀를 갖는다. 열정을 이해할 때 우리는 영원히 물어뜯을 수 있는 뼈다귀를 갖는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7
《자기통찰》 필사 8일차 [누적 258일차] 가치는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규정하고 우리의 행동을 평가하는기준을 제시해준다. 가치는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규정하고 우리의 행동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해준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5
《자기통찰》 필사 7일차 [누적 257일차] 모르는 것을 발견할 때 앎이 시작된다. 모르는 것을 발견할 때 앎이 시작된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4
《자기통찰》 필사 6일차 [누적 256일차] 통찰은 자기인식이라는 고속도로에서 질주할 수 있게 해주는 연료이다. 통찰은 자기인식이라는 고속도로에서 질주할 수 있게 해주는 연료이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3
《자기통찰》 필사 5일차 [누적 255일차] 외적 자기인식이 부족한 사람은 느닷없는 피드백에 곤혹스러워하고 그 피드백을 받을 즈음 관계는 회생할 수 없을 만큼 망가진다. 외적 자기인식이 부족한 사람은 느닷없는 피드백에 곤혹스러워하고 그 피드백을 받을 즈음 관계는 회생할 수 없을 만큼 망가진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3
《자기통찰》 필사 4일차 [누적 254일차] 내적 자기인식이 안 되는 사람은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진정한 성공 및 행복과 양립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내적 자기인식이 안 되는 사람은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진정한 성공 및 행복과 양립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1
《자기통찰》 필사 3일차 [누적 253일차]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알지 못해서 끊임없이 이롭지 못한 선택을 할 때도 있다.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알지 못해서 끊임없이 이롭지 못한 선택을 할 때도 있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0
《자기통찰》 필사 2일차 [누적 252일차] 우리 대부분은 자신을 매우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그 자신감의 근거는 없을 때가 많다. 우리 대부분은 자신을 매우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그 자신감의 근거는 없을 때가 많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10
《자기통찰》 필사 1일차 [누적 251일차] 자기인식이란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다른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이 주변 세상과 어떻게 어울리는지아는 것이다. 자기인식이란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다른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이 주변 세상과 어떻게 어울리는지 아는 것이다. - 타샤 유리크, "자기통찰" 필사 & 캘리 2019.09.08
《그릿》 필사 30일차 [누적 250일차] 그릿이란 한 번에 한 걸음씩 계속 나아가는 것이다. 그릿이란 한 번에 한 걸음씩 계속 나아가는 것이다. - 앤절라 더크워스, "그릿" 필사 & 캘리 2019.09.08